해외인삼
인삼의 전래

일본에 있어서 고대로부터 인삼(P. ginseng C.A. Meyer를 말함)은 자생되지도 않았고 외부로부터 이식한 일도 없으며 따라서 인삼을 약용으로 사용한 적도 없다고 한다. (A.D. 414: 일본서기). 그 후 456년에는 신라에 이어서 백제나 고구려로부터 명의들이 일본에 건너가 의를 업으로 하였다고 하며 그 당시까지만 해도 인삼은 전래하지 않았다고 한다.
701년 문무천황의 천보원년에 별정된 의사제도에는 「의생은 "갑을경" "맥경" "신수본초"를 배워야 한다.」고 하였으며 그 중 『신수본초』에는 인삼이 약제로서 등재되어 있다. 또한 733년에 발행된 것으로 전해진 『출운국풍토기』에 인삼이 기재되어 있으나 이것은 「ニユク」라 불리며 현재의 인삼과는 별개의 식물이라고 한다. 737년에는 당시 크게 유행되었던 임진에 인삼탕 복용을 권한 바 있으며 739년 발해 문왕 때 인삼 30근을 예물로 받은 바 있다고 한다.
그 후 인삼은 수시로 한국으로부터 예물 또는 물물교환으로 일본에 수입되었으며 약용으로 이용하기 시작하였다고 한다. 일본에 현재 자생하고 있는 죽절인삼이 약용으로 이용되었거나 또는 재배된 연대는 미상이다. 일본에 있어서의 인삼재배는 1607년 설과 1720년경 국내 생산분으로는 부족하여 수요에 충족하고 금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재배를 시도하였으나 실패하였고, 1728년에 만주삼과 한국삼종자 60입과 야생인삼 8본을 "일광"에 식재하여 처음으로 성공하였다고 한다.
재배의 역사
초기
중기
근대
-
더 궁금한 사항이 있으신가요?
아래 연락처로 연락주시면 좀 더 자세한 답변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인삼약초정책과 인삼지원팀 : 041-750-2662